편리 vs 편향
구글이나 페북을 통해 뉴스를 보고 쇼핑을 하면 알아서 관심과 취향에 맞는 것들을 척척 보여준다.
그 속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는 그다지 궁금하지 않다.
대신 '나'라는 인간, 그러니깐 알고리즘이 파악한 '예전의 나' 라는 속성에 기반한 컨텐츠를 지속적으로 내게 노출한다면
'앞으로의 나'는 '예전의 나'로 더욱더 고착되는게 아닌지 의심이 들기 시작.
편리하지만 편향되는 시대.
취향도 문화도, 정치도.
'숏생각탈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리와 관심 (0) | 2017.01.03 |
---|---|
알고 있는 것을 인지하는 것 (0) | 2017.01.02 |
골대는 어디 (0) | 2016.12.27 |
주어와 서술어 (0) | 2016.12.25 |
일반론과 가짜 전문가 (0) | 2016.12.24 |
미래는 누구의 것인가
소재는 흥미로웠으나 번역체가 눈에 잘 안들어오고 내용 전개가 장황해 다 읽는데 실패. 끝까지 읽어보겠다고 몇일 붙잡아봤자 시간낭비다. 이럴땐 빨리 놔주고 다른 책으로 갈아타는게 상책. 나랑 궁합 안맞는 책도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게 마음이 편하다.
미래에 AI 와 AI 가 제어하는 로봇이 대부분 직업을 대체하는 세상이 온다면 인간의 노동은 점차 줄어들 것이고 소득도 감소할 것이다. 1차 -> 2차 -> 3차 -> 4차 산업혁명이 발생할 때마다 고용시장에는 빅뱅이 따라온다. 인간을 더 자유롭게 하고 선택을 넓혀주고 안락함을 주는 것은 분명하나 일자리와 소득을 놓고 봤을때는 고민이 더 필요해 보인다. 먼 미래로 가지 않아도 이미 요새 유행인 첨단 IT, 플랫폼 비지니스들을 보면 이해가 쉽다.
애플, 구글, MS 의 고용인원을 다 합해도 삼성전자보다 적다. 세계 최고 빅3 IT 기업 고용규모가 제조회사 삼성전자보다 적은 것이다. 코닥은 전성기 시절 고용인원이 14만에 육박했으나 인스타그램은 페이스북에 최근 인수될 당시 십여명 정도였다. 포드, GM 의 고용인구는 수십만이나 웬만한 전통 자동차 회사들 보다 기업가치 크다고 평가받는 우버의 고용규모는 전세계 삼천여명에 불과하다.
기업가치는 높지만 고용창출은 적은 기업들이 계속 나타날 수 밖에 없다. 그런 기업들의 비지니스에 잘 올라타 수익을 내는 숙련노동자?들은 소수인 반면, 비숙련 노동자들은 기존 전통 일자리마저 없어지는 판국에 우버 자동차 기사와 같이 부가가치가 낮은 밸류체인의 끝단으로 몰리게 될 가능성이 높다. 소득불평등 심화가 더 심해질 것이다.
책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을 수도 있지만 요새 화두인 "기본소득" 이란게 출현한 배경과 끈이 닿는 것 같다. 기본 소득은 필요한 사람에게만 선별적으로 복지를 지원하지 말고 전 국민에게 일정 금액을 동일하게 주자는 것이다. 최근의 구조적인 저성장의 늪을 빠져나갈 수 있고, 더나아가 신자유주의 경제체제의 대안으로 제기되기도 한다.
세계 여러나라 정부에서는 경기를 살려보겠다고 양적완화, 마이너스 금리, 헬리콥터 머니 등 용을 쓰고 있지만 신통치 않다. 선별적 복지도 관료조직 특성상 수혜자를 찾아 100원을 줄때, 관련 조직을 구성하고 관리하는 사람을 쓰는데 들어가는 돈이 추가로 100원 가까이 든다고 말도 있다. 기술은 발전하는데 갈수록 고용은 줄어들고 그러니 소득도 줄어들고 경제도 어렵고 그래서 이번에 기본소득으로 그냥 줘보자는 것이다.
도덕적 해이도 우려되고 재원은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 논란도 많다. 개인적으로 기본소득이라는 정책에는 반대지만 왜 "기본소득"이라는게 대두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이해는 된다. 기술이 발전하고 살기 편해진다고 해서 미래가 우리의 것이라는 건 순진한 생각이다. 기술이 발전하면 그 기술을 담을 사회도 제도도 인식도 같이 발전해야 미래가 우리 것이 될 것이다.
'이런 책을 읽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빠와 아저씨는 한끗차이 (0) | 2016.08.16 |
---|---|
레고 어떻게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았나 (0) | 2016.08.14 |
일본 반도체 패전 (0) | 2016.08.04 |
지독하게 리얼하게 10.5 (0) | 2016.08.03 |
뉴스테이 시대, 사야할 집 팔아야할 집 (1) | 2016.08.02 |
자율주행차 주행중 사고시 딜레마
낭떠러지 옆 좁은 산길에서 운전중 갑자기 아이들이 튀어나왔고 브레이크 밟기도 늦은 상황이라면 당신의 선택은?
- 낭떠러지로 떨어져 내가 죽는다
- 그냥 가던길 간다.
만약 당신차에 당신 아이가 타고 있었다면 똑같은 선택을 할수 있을까?
2천명의 미국인을 대상으로 자율주행시 여러 사고상황에서 어느쪽을 희생하고 어느쪽을 살려야 할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대부분 사람들은 사고시 주행자, 혹은 그의 동료,가족이 사망하더라도 총 사망자를 최소화하는 쪽으로 주행해야한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렇게 프로그램된 자율주행차를 구입하겠냐는 질문을 받은후에는 자신의 자율 주행차는 운전자와 탑승객의 생존을 최우선으로 하길 원한다고 대답했다.
운전자, 자동차 제조사, 입법자 각 입장에서도 이런 경우 어느 누구도 이렇게 동작해야한다고 앞장서 주장하기도 힘든 문제다.
붙잡고 토론한다고 답이 나올 문제는 아닐 것 같고... 도로 및 건물 등 도시 자체가 거대한 센서집합이 되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아 사고가 날 수 없는 인뿌라를 구축하는 수밖에
'호기심,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US State Map - 미국 주, 수도 지도 (0) | 2016.06.27 |
---|---|
애플 뮤직 국내 상륙 (2) | 2016.06.25 |
주택산업의 밸류체인 변화 (0) | 2016.06.23 |
편의점에 전기차 충전기 등장 (0) | 2016.06.23 |
고양이를 술친구로 만들어 주는 와인 (0) | 2016.06.22 |
챗봇이란?
앱을 깔 필요가 없어지며 메신저가 하나의 비지니스 플랫폼으로 진화할 수도. 그전에 AI 기술이 뒷받침 해줘야.
'호기심,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담배판매허가 (0) | 2016.05.25 |
---|---|
후회가 꿈을 대신하는 순간부터 우리는 늙기 시작한다. (0) | 2016.05.24 |
대화의 종말 - '스마트폰이 우리 삶을 지배하고 있는가' 그림中 (0) | 2016.05.21 |
독서가 정신에 미치는 효과 (0) | 2016.05.20 |
복권은 비효율적이고 후진적인 세금? (0) | 2016.05.19 |
알파고의 승리가 인공지능의 승리는 아니다
칼럼(http://infuture.kr/1574) 내용은 준비할 시간은 아직 충분하니 호돌갑 떨지 말라는 이야기.
하지만 알파고 이벤트를 통해 느낀점이 하나 있다. 구글의 최종 목표는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거나 그 이상의 역할을 할 로봇을 만드는게 아닐까 하는 점.
몇년전 구글 글래스를 보며 혹자는 거추장스럽게 누가 저걸 쓰겠냐고 했다.
하지만 과연 구글글래스를 사람들 쓰라고 만들었을까?
눈(구글글래스) -> 인공지능(알파고, 자율주행차량) -> 로봇(휴머노이드 - 보스턴다이나믹스).
물론 최근에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매각하긴 했지만 대체할 회사를 인수하거나 자체 개발하지 않을까 함.
'호기심,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이 대기업 성공방식 가져오면 오히려 위험 - 댄 샤피로 (0) | 2016.04.24 |
---|---|
프린스 (0) | 2016.04.22 |
내 생각보다 데이터를 믿어라 (0) | 2016.04.17 |
실리콘밸리에서 ‘인강’ 사업하게 된 이야기 (0) | 2016.04.16 |
인과관계 밝힐 수 있나… 빅데이터가 놓치고 있는 것들 (0) | 2016.04.15 |
알파고 vs 이세돌 4번째 대국후 인터뷰를 보고
알파고 상대로 첫 승을 따내서 그런지 기자회견 대부분의 질문이 승부와 관련된 질문이다. 그러던 중 일본 기자가 이런 질문을 한다.
"바둑내에서 실수라고 생각했던 수가 큰그림에서는 묘수 였고 더 큰이익을 가져왔다. 하지만 바둑 해설진들은 이것이 잘못된 실수라고 생각했다. 이것을 인체, 생명공학에 적용시켰을시. 딥 마인드가 행하는 행동을 의사들이 이해 하지못할 실수로 보여질 행동을 할수도 있다는 뜻인데 이것이 문제가 되지 않겠는가?"
우리 미디어들은 인공지능과 인간의 바둑 대결. 승부라는 좁은 시야에서만 이 이벤트를 소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이번을 계기로 인공지능의 정교함이 지수함수처럼 발전해서 인간의 육체적 노동은 물론이고 직관, 감정이 필요한 일까지 대체하게 되는 시발점이 되는 역사적 순간일지도 모르는데 한국 기자들의 질문에서는 게임 이상의 진지함을 찾아보기 힘들다. 인터넷 기사들을 보면 나름 AI 대한 심층기사들도 많이 나오긴 하던데 기자회견과 기사는 별개인 것인가.
'호기심,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의 인생차트 (0) | 2016.03.17 |
---|---|
캡슐호텔 7개 (0) | 2016.03.15 |
2015년 미국 무역적자 (0) | 2016.03.12 |
에버노트 "Scannable" 앱의 세심함 (0) | 2016.03.10 |
Square vs Stripe 비교 (0) | 2016.03.08 |